반응형
재개발·재건축 제도, 이번엔 뭐가 달라지나?
'합리화'라는 말 뒤에 숨은 정책의 진짜 방향
뉴스·법령 해석 by 현실집로그
🧭 배경 요약
국토교통부가 2025년 하반기를 목표로 재건축·재개발 제도 전면 손질에 나섭니다.
아직 공식 입법 예고는 아니지만, 언론과 실무 브리핑을 통해 드러난 방향성만으로도
정비사업 전반의 대수술이 예고되고 있습니다.
“서울에선 사업성이 부족하고, 지방은 속도가 너무 느리고…”
→ 똑같은 제도 아래서 지역 간 양극화가 벌어지는 구조, 이제 손보겠다는 시도입니다.
🔧 개편 방향 요약
- ✔ 토지등소유자 동의 기준 완화 (현행 재건축 75% → 낮추는 방안 검토)
- ✔ 안전진단 면제 폭 확대 (정비계획 수립 지역 중심)
- ✔ 상가 보상 방식 정비 (임차인 갈등 완화)
- ✔ 사업 기간 단축 + 기초단체 승인 권한 확대
📍 현실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었나
🔹 서울 강남권: “사업성 부족 + 동의율 장벽”
- 노후 아파트라도 구조적 결함 없으면 안전진단 탈락
- 사업성 낮고, 주민 동의율 기준(75%)이 높아 추진 멈추는 사례 많음
📌 서울시는 2024년 '정비기본계획' 개정 통해 사업성 보정계수, 용적률 완화 도입
🔹 지방 대도시: “속도는 느리고 갈등은 깊다”
- 부산·대구·광주 등, 정비구역 지정부터 인허가까지 5~7년 이상
- 상가 보상 갈등, 절차 복잡성, 현금청산 불만 등으로 중단 사례 다수
💬 현실집로그 생각
국토부가 말하는 ‘합리화’는 사실상 “정비사업을 쉽게 풀어주겠다”는 시그널입니다.
하지만 제도 완화만으로는 사업의 지속 가능성이나 주민 수용성이 해결되진 않습니다.
- ✅ 속도보다 중요한 건 절차의 정당성과 신뢰
- ✅ 형평성 없는 완화는 지역별 투기 과열만 유발
- ✅ 착공까지 7~10년 걸리는 사업에 너무 과한 기대는 금물
✅ 현실집로그 한줄 정리
“합리화는 좋지만, 그 ‘속도’보다 더 중요한 건 그 동네에 사는 사람들의 ‘연속성’과 ‘안정성’이다.”
반응형
'🗞️ 뉴스 | 법령의 해석과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억 이하 주택, 취득세 1%로 완화 (2) | 2025.04.25 |
---|---|
🏬 서울 상가, 왜 이렇게 안 팔릴까? (2) | 2025.04.25 |
📑 미분양 쏟아지는데, 관리지역은 고작 5곳? (2) | 2025.04.25 |
국민의힘 대권주자 4인의 부동산 공약 비교— 실수요자에게 가장 유리한 후보는 누구일까? (4) | 2025.04.25 |
🏗️ 1기 신도시 2차 선도지구 추진과 추가분담금 이슈 (2)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