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뉴스 | 법령 해석과 현실집로그 생각
대선 후보 중 누가 부동산 투자를 가장 잘했을까?
– 실거래가·보유 아파트·입지 분석을 통해 본 부동산 감각 평가
📌 대선 후보 7인의 부동산 보유 현황 (2025년 기준)
후보명 | 보유 부동산 (지역/단지) | 5년 전 가격 | 최근 시세 | 상승률(5년) | 입지 특징 / 특이사항 |
---|---|---|---|---|---|
이재명 | 분당 양지마을 금호1단지 | 약 20억 | 27.5억 | +7.5억 (+37%) | 재건축 가능 / 분당 중심권 |
김동연 | 강남 도곡렉슬 전용 59㎡ | 약 17억 | 26억 | +9억 (+53%) | 실수요 중심 / 브랜드 아파트 |
한동훈 | 서초 삼풍아파트 | 약 18억 | 25억 | +7억 (+39%) | 재건축 추진 중 / 서초 중심 |
홍준표 | 송파 아시아선수촌 | 약 16억 | 24억 | +8억 (+50%) | 잠실 대표 입지 / 강남 접근성 |
나경원 | 서빙고 신동아 + 남산현대 | 약 24억 | 36억 | +12억 (+50%) | 2주택 보유 / 용산-중구 핵심 |
이준석 | 노원 신축 아파트 | 약 8억 | 12억 | +4억 (+50%) | 서울 외곽 / 개발 잠재지 |
유승민 | 논현동 단독주택 + 용인 토지 | 약 25억 | 38억 | +13억 (+52%) | 단독주택 재건축 + 토지 개발 |
🧠 현실집로그의 해석
“단순히 오른 가격이 아니라, ‘어디를 골랐느냐’와 ‘왜 오래 들고 있었느냐’가 진짜 투자 실력입니다.”
🔹 ① 누가 가장 수익률이 높았나?
- 유승민 (+52%), 김동연 (+53%)이 높은 상승률
- 하지만 유승민은 토지 포함 + 단독주택, 김동연은 소형아파트
- → 면적, 입지, 실수요 적중도 고려 시 김동연이 실질적 수익률 우수
🔹 ② 누가 입지를 가장 잘 골랐나?
- 이재명: 30년 보유한 분당 중심 대단지 → 장기보유 + 재건축 기대감
- 한동훈: 서초 삼풍 → 보수적이지만 타이밍 좋음
- 홍준표: 잠실 아시아선수촌 → 고정 팬층 있는 부촌 브랜드
🔹 ③ 누가 리스크를 분산했나?
- 나경원: 2주택 보유로 입지 다변화 + 공동명의로 세금 최소화
- 유승민: 서울 핵심 + 수도권 외곽 토지 → 포트폴리오 구성형
🔹 ④ 누가 실거주 중심 전략인가?
- 김동연: 본인은 전세 거주, 배우자 명의 보유 → DSR 회피 + 세금 최소화
- 이준석: 노원 거주 → 지역 기반 + 실거주 목적 조화
🏁 결론 – 가장 부동산 투자를 잘한 후보는?
- 김동연 후보: 강남 소형 브랜드 아파트, 상승률 + 입지 + 실수요 + 세금 구조 모두 안정적
- 유승민 후보: 입지 다변화 + 고가 자산 운용 전략 돋보임
- 한동훈 후보: 재건축 기대 입지를 고르게 보유했지만, 상승폭은 보수적
- 이재명 후보: 장기보유 전략 측면에서는 가장 안정적이며 신뢰도 있는 선택
※ 이 자료는 시세와 입지를 중심으로 분석한 참고용 콘텐츠로, 특정 후보에 대한 정치적 해석과는 무관합니다.
대선과 부동산은 예민하고 시기적 영향이 크므로, 편하게 읽어주셨으면 합니다.
반응형
'🗞️ 뉴스 | 법령의 해석과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초환 폐지, 용적률 완화? 한동훈 부동산 공약과 서울 아파트 변화 읽기” (0) | 2025.04.21 |
---|---|
전세사기 특별법, 2년 연장된다 - 보호대상 확대와 경매유예 제도 유지… 주거 안정 효과는? (0) | 2025.04.21 |
🏡김포 메트로타워 예미지 무순위 청약, 이번에도 2억 시세차익? (1) | 2025.04.20 |
🏛️ 2025 대선, 민주당 vs 국민의힘 부동산 정책 비교 (5) | 2025.04.19 |
[예비 대선후보 부동산 정책 알아보기] 🏛 한동훈, 청년 주택 구매 지원 위한 부동산 정책 발표 (0)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