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 공부노트 | 세금편 ①
부동산 취득세·보유세·양도세 구조
– 부동산 보유 전 과정에 걸친 세금 흐름, 2025년 기준으로 정리합니다
🧾 부동산 세금, 세 가지 흐름으로 나눠 봅니다
부동산을 보유한다는 것은 단순히 ‘매수 → 보유 → 매도’의 흐름뿐 아니라,
그 과정마다 세금이 어떻게 부과되는지를 이해하는 것도 포함됩니다.
2025년 기준, 부동산 관련 세금은 다음과 같이 3단계로 구분됩니다.
- 취득세 – 매수 시점
- 보유세 – 보유 기간 중 매년 납부
- 양도소득세 – 매도 시점
① 취득 시: 취득세
2025년 현재 취득세는 주택 수, 지역 규제 여부에 따라 달리 적용되며,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세율 | 주요 내용 |
---|---|---|
1주택자 | 1~3% | 주택가격에 따라 6억 이하 1%, 6~9억 2%, 9억 초과 3% 적용 |
조정지역 2주택자 | 8% | 조정대상지역 내 2주택 보유 시 중과세율 적용 |
조정지역 3주택 이상 | 12% | 조정대상지역 내 3주택 이상 보유 시 중과세율 적용 |
💡 참고: 생애최초로 소형주택(아파트 제외)을 구입하는 경우, 기존 200만 원에서 300만 원까지 감면한도 상향 (2025년 기준)
② 보유 중: 보유세 (재산세 + 종합부동산세)
보유세는 ① 재산세와 ② 종합부동산세(종부세)로 나뉘며, 각각 과세 기준과 공제 기준이 다르므로 구분하여 이해해야 합니다.
항목 | 재산세 | 종합부동산세 (종부세) |
---|---|---|
과세 대상 | 모든 주택 | 1세대 1주택 기준 공시가 11억 초과 (2025년 기준) |
과세 시기 | 매년 6월 1일 보유 기준 | 동일 (6월 1일 기준) |
세율 | 0.1% ~ 0.4% | 0.6% ~ 3.0% (다주택자는 중과) |
특징 | 실거주 여부 무관 | 1세대 1주택자 감면 가능, 주택 수 및 보유가액 따라 차등 |
✔️ 종부세는 2025년부터 1주택자 기본공제가 9억 → 11억 원으로 상향되어 중산층 실수요자 보호 측면에서 완화된 구조입니다.
③ 매도 시: 양도소득세
양도소득세는 주택 수와 보유 기간, 실거주 여부, 지역 규제 상태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구분 | 세율 | 주요 기준 |
---|---|---|
1주택자 | 6% ~ 45% | 2년 이상 보유 + 거주 시 12억 원까지 비과세 |
조정지역 2주택자 | 기본세율 + 20% | 중과세율 적용 (5월 9일까지는 한시적 유예) |
조정지역 3주택 이상 | 기본세율 + 30% | 중과세율 적용 (유예 종료 이후 적용 예정) |
💡 2025년 5월 9일까지는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한시적 유예 중
단, 유예 종료 이후엔 다시 중과세율 적용 예정이므로 양도 시점 관리 중요
🧠 현실집로그의 생각
“부동산 세금은 ‘구매 → 보유 → 매도’라는 시간 흐름을 따라 움직이며,
단순한 세율이 아닌 시점과 조건에 따라 그 효과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 매수 단계에서는 감면 요건을 충분히 검토해야 하고
- 보유 단계에서는 종부세 기준, 주택 수 변동에 따른 세 부담 추이를 파악해야 하며
- 매도 단계에서는 양도차익뿐 아니라 비과세 요건 충족 시점을 명확히 계산해야 합니다.
👉 특히 2025년은 세제 유예, 공제 한도 상향 등 변화가 큰 해로, 내 상황과 계획을 다시 조정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 다음 시리즈 예고
- ✔️ 세금편 ①: 취득세·보유세·양도세 구조
- 🔜 세금편 ②: 1주택자 vs 다주택자 양도세 차이
- 🔜 세금편 ③: 공동명의 시 세금 차이
- 🔜 세금편 ④: 신혼부부 감면 제도 총정리
'📚 부동산 공부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부동산 공부노트 | 세금편 ③공동명의 시 세금 차이 (0) | 2025.04.20 |
---|---|
📘 부동산 공부노트 | 세금편 ② 1주택자 vs 다주택자 양도세 차이 (0) | 2025.04.20 |
📘 부동산 공부노트 | 영끌 시리즈 ④ DSR과 대출 한도, 이해하고 설계하기 (2) | 2025.04.20 |
📘 부동산 공부노트 | 영끌 시리즈 ③편 금리 변화와 대출 구조의 이해 (0) | 2025.04.20 |
📘 부동산 공부노트 | 영끌 시리즈 ②영끌의 위험성과 방어 전략 (0) | 2025.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