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모델링도 위험하다” 서울시, 구조물 철거 기준 만든다
📘 뉴스·법령 해석과 생각
📌 무슨 일이 있었나?
서울시가 공동주택 리모델링 공사 현장에서 무분별하게 철거되는 구조물로 인한 안전 문제를 막기 위해
처음으로 ‘구조물 철거 기준’을 마련하는 용역에 착수했습니다.
- 배경: 내력벽·바닥판·기초 등을 과도하게 철거하는 사례 급증
- 문제: 하중 변화 → 건물 구조 자체의 안정성 위협
- 대응: 증축·보강 시 철거 범위를 명확히 하기 위한 표준 가이드라인 도입
🏗 리모델링, 왜 위험해졌을까?
- 1980~90년대 공급된 아파트의 노후화 → 리모델링 수요 급증
- 기존 중소형 평면 → 대형 평면 구조로 바꾸려는 수요 많음
- 이 과정에서 ‘내력벽’ 등 주요 구조체까지 철거 → 건축물 전체 안전성 위협
🧠 현실집로그의 생각
“리모델링은 재건축보다 덜 위험할 거라는 인식은 이제 바뀌어야 합니다.”
✔️ 리모델링은 ‘수리’가 아니라 ‘구조 변경’에 가까운 공사입니다.
✔️ 특히 구조를 바꾸는 순간, 단순 인테리어를 넘어선 고난이도 공법과 설계가 필요해요.
✔️ 그동안 리모델링 활성화만 강조됐지, 안전 기준은 공백 상태였던 것이 사실이에요.
👉 리모델링을 통해 아파트 시세를 높이고자 하는 심리, 혹은 더 쾌적하고 좋은 아파트에서 살고 싶은 욕구는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 하지만 그 심리가 기초 구조물의 철거처럼 건축물의 안전을 침해하는 무리한 판단으로 이어져서는 안 됩니다.
👉 사람의 욕망이 안전을 위협하는 일은 절대 일어나선 안 되며, 제도는 바로 그 욕망과 안전 사이에서 균형을 잡아주는 역할을 해야 합니다.
속도보다 중요한 건, 안전과 지속 가능성입니다.
반응형
'🗞️ 뉴스 | 법령의 해석과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 1기 신도시 2차 선도지구 추진과 추가분담금 이슈 (2) | 2025.04.24 |
---|---|
2025년 4월 세종 무순위 청약, 접수 하루 연장된 배경은? (0) | 2025.04.24 |
청약시장, 서울만 웃는다 – 지방은 미달, 수도권은 과열 (0) | 2025.04.24 |
공사비 60% 급등 시대, 조합들의 선택은 ‘고급화’가 아닌 ‘생존’ (4) | 2025.04.24 |
“도심융합특구, 지방소멸 막을 열쇠 될 수 있을까?” (3)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