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부동산 공부노트 | 세금편 ④
신혼부부 주택 구매 시 감면 제도 총정리
– 결혼과 동시에 ‘세금 감면’도 함께 챙기는 방법
🧾 “신혼부부라면 세금 감면이 된다고요?”
결혼 후 첫 집을 마련할 때, 가장 많이 들은 말 중 하나가 바로 이것이죠.
“신혼부부는 세금 감면이 있대.”
그런데 막상 찾아보면 너무 복잡하고, 내가 해당되는지 잘 모르겠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신혼부부가 받을 수 있는 취득세, 양도세, 대출 등 감면 혜택을 정리합니다.
① 취득세 감면 – 생애최초 & 신혼부부 모두 가능
2025년 기준, 다음 요건을 만족하면 취득세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구분 | 내용 |
---|---|
대상 | 혼인신고 후 5년 이내의 신혼부부 + 무주택자 조건 충족 |
주택가격 | 수도권 4억 이하 / 비수도권 3억 이하 |
소득 조건 | 2025년부터 폐지됨 |
감면 내용 | 취득세 50% 감면, 최대 200만 원 한도 (상향 예정) |
💡 소득 요건이 폐지되면서 신혼부부라면 더 폭넓게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어요.
② 양도세 – 비과세는 부부 공동명의도 OK
신혼부부가 1주택을 보유하고 있고, 2년 이상 실거주 후 양도하는 경우 → 12억 원까지 비과세 적용
- 📌 공동명의일 경우에도 각자 실거주 요건 충족 시 6억 + 6억 = 12억까지 비과세
- ✔️ 혼인신고는 필수
- ✔️ 양도 시점까지 무주택 유지 필요
③ 주택자금 대출 – 생애최초 + 신혼부부 특별우대금리
신혼부부는 생애최초 대출 + 특별우대금리를 중복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구분 | 내용 |
---|---|
생애최초 구입 대출 | 연 2%대 금리, 최장 40년 만기, 최대 4억 원까지 |
신혼부부 우대금리 | 0.2%p 추가 금리 할인 (자녀 수 따라 증가) |
DSR 완화 혜택 | 부부합산 소득 1억 이하까지 적용 가능 (2025년 기준) |
💡 전세대출 이자 감면, 주거급여 연계 혜택도 함께 받을 수 있어요.
🧠 현실집로그의 생각
“신혼부부에게는 단순히 ‘축복’만 있는 게 아닙니다. 정책은 명확한 시기, 조건, 금액 기준을 갖고 움직입니다.”
- ✔️ 감면 조건은 매해 바뀌며, 혼인 시점, 주택 계약 시점, 잔금일자에 따라 적용 여부가 달라집니다.
- ✔️ 가장 중요한 건, 혼인신고 시점과 주택 취득 순서를 정교하게 설계하는 것.
📚 세금편 마무리 요약
- ✔️ ① 취득세·보유세·양도세 구조
- ✔️ ② 1주택자 vs 다주택자 양도세 차이
- ✔️ ③ 공동명의 시 세금 차이
- ✔️ ④ 신혼부부 감면 제도 총정리
반응형
'📚 부동산 공부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품아, 몰세권, 공세권? 생활권 키워드가 집값을 결정한다 부동산 공부노트 ② 입지 인사이트편 (2) | 2025.04.22 |
---|---|
입지가 아파트 값을 결정한다 – 역세권과 인프라 입지 분석법 부동산 공부노트 ① 입지 인사이트편 (0) | 2025.04.22 |
📘 부동산 공부노트 | 세금편 ③공동명의 시 세금 차이 (0) | 2025.04.20 |
📘 부동산 공부노트 | 세금편 ② 1주택자 vs 다주택자 양도세 차이 (0) | 2025.04.20 |
📘 부동산 공부노트 | 세금편 ① 부동산 취득세·보유세·양도세 구조 (0) | 2025.04.20 |